🚩 수학 thinking 10이 되려면 2x5이므로 2와 5의 개수 중 작은것을 구하면 된다. 근데 무조건 5의 개수가 2보다 더 작게 나오기 때문에 5가 나온 횟수만 구하면 된다. 5가 나온 횟수는 계속해서 5로 나눈 몫의 합이므로 while문으로 구성했다. 코드 N = int(input()) t = N - N % 5 # input숫자를 5로 나눈 나머지로 빼서 5의 배수로 만들어준다 ans = 0 while t >= 5: # 5로 계속해서 나누어주기 위한 조건설정 ans += t // 5 # 5로 나눈 몫을 더한다 t //= 5 print(ans) 한줄평 이 문제는 걍 수학 문제 같았음. . 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48x148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kl2WU/btq4kaxTxq6/OkqNLx7oc7qQpkYOlD3KWk/img.png)
Vue와 axios를 활용하여 API 서버로 요청을 보내 응답 받은 이미지를 화면에 표시하는 앱을 완성해보자 ! 과정 1️⃣ Vue와axios를 사용하기 위해 공식문서에서 CDN과 라이브러리를 설치한다. Vue 공식문서 바로가기 axios github 링크 (둘 중 아무거나 가져와도 상관없습니다) 2️⃣ HTML 기본 구조를 잡는다. API로 받은 이미지를 넣을 img 태그와 버튼을 누르면 이미지가 랜덤으로 바뀔 수 있도록 버튼 태그를 만들어줬습니다. Vue 인스턴스와 연결시킬 예정이므로 잊지말고 id를 할당해줍시다 ! 3️⃣ Vue 인스턴스를 만든다. ( 저는 고양이 사진으로 구성하고자 고양이 이미지를 제공하는 API를 사용했습니다 ~) const app = new Vue({ el: '#app', da..
문제 thinking 아주 전형적인 백트래킹 & dfs 문제이다 ! 모든 경우를 전부 따져보되, 이미 답이 안되는 경우(값이 기존 결과값보다 큰 경우)는 바로 중단하면 된다. 열과 행이 겹치면 안되므로 dfs라는 함수의 인자로 행(i)을 넣어, 행을 증가시키며 경우를 체킹했고, visited 라는 리스트를 만들어 열의 방문여부를 확인하도록 코드를 구성했다. 코드 def dfs(i, tmp): # 행, 현재 타임 합 global res if tmp >= res: return if i == N: res = min(tmp, res) return for j in range(N): if not visited[j]: visited[j] = 1 dfs(i+1, tmp+a[i][j]) visited[j] = 0 T =..
문제 thinking 정류장별 배터리 용량을 리스트로 만든 후, 1번 정류장부터 돌면서 교환횟수를 구해 비교했다. 최소한의 교체횟수를 묻고 있으므로 이전횟차까지의 결과값보다 같거나 크면 return 시키도록 함수를 구성했다. 함수의 인자로 현재위치(i), 최대로 갈 수 있는 범위(max_i), 해당타임 교환횟수(cnt)를 두어 일단 갈 수 있는 만큼 최대로 가보면서 cnt 값을 비교했다. + 교환횟수처럼 계속 변하는 값을 함수의 인자로 두면 코드짜는게 더 쉽다. 굿 ! ! ! 코드 def dfs(i, max_i, cnt): # 현재위치(인덱스), 최대로 갈 수 있는 범위, 해당타임 교환횟수 global res if cnt >= res: return if max_i >= N: res = min(cnt, r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48x148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D1ijp/btq4bh6o4Ir/Rjntx4xOcPPIq5JotYWQZ1/img.png)
💡 How Quicksort Works ? 퀵정렬은 피봇(pivot)을 기준으로 큰 숫자와 작은 숫자를 서로 교환한 다음 배열을 반으로 나눈다. 즉, 피봇보다 작은 숫자는 피봇 왼쪽으로, 큰 숫자는 오른쪽으로 분할한다. 이런식으로 쭉 내려가면 정렬이 되고, 이를 결합하면 정렬된 리스트를 얻을 수 있다. 👍 분할 정복 알고리즘으로 평균적으로 매우 빠른 수행 속도를 나타내는 것이 특징이다. 코드 def quick_sort(left, right): if left >= right: return pivot = left i = left+1 j = right-1 while i
- git 미러링
- 기지국설치
- react
- 20057 마법사 상어와 토네이도
- merge에러
- 백준
- 브루트포스
- BFS
- merge 에러
- Python
- dfs
- dp
- 21609 상어 중학교
- 삼성기출
- 17406 배열돌리기4
- swea
- 삼성코테
- 프로그래머스
- 알고리즘
- 2018 카카오 공채
- 영어끝말잇기
- 2579 계단오르기
- 보석쇼핑
- 파이썬
- 20056 마법사 상어와 파이어볼
- Total
- Today
- Yesterday